비열한 모략소동은 즉각 철회되어야
얼마전 외교부가 이신화 고려대학교 교수를 신임 ‘북인권국제협력대사’로 임명했다.
‘북인권국제협력대사’직은 2016년 3월 조작된 ‘북인권법’에 따라 두게 된 것으로, ‘북인권증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을 하는 데 그 역할이 있다고 한다.
지금 외교부는 “북인권,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해 국제사회와 지속적으로 협력해나갈 것”이니, “이번 임명은 정부의 북인권 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협력을 견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니 하고 떠들고 있다.
북의 존엄높은
인권은 소중하고 그 보장은 당연한 것이다.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국가나 개인은 거의 없다.
문제는 미국이 저들의 가치관에 따라 인권을 가장 큰 목소리로 외치고 다른 나라를 윽박지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국은 매년 세계 여러 나라에 대한 인권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나라별로 순위를 매기고 이를 근거로 유엔 등을 통해 공세를 가하기도 한다. 해괴하게도 미국내의 인종갈등, 총기류 범죄, 경찰 폭력, 그리고 다른 나라와 정부들에 대한 테러 등 인권침해가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자국에 대한 인권보고서는 내지 않는다.
이것만 보아도 미국이 인권을 저들의 비위에 거슬리는 나라와 민족들에 대한 압박 카드로 써먹고 있음을 극명히 말해준다.
그런데 바로 미국의 대북적대시정책에 따르는 ‘북인권’소동에 이 땅 위정자들이 극구 가담해나서고 있다.
이명박근혜의 대북정책을 판박이 한 윤석열 정권은 지금 ‘북인권’을 운운하며 북을 자극하고 헐뜯는 언동을 날로 노골화하고 있다.
최근 또다시 머리를 쳐드는 탈북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놀음도 다름 아닌 윤석열 정권의 묵인조종 하에 벌어지는 비열한 ‘북인권’모략책동의 일환일 따름이다.
남을 걸고들기 전에 제 주제부터 보라고 이 땅의 인권문제는 도대체 어떠한가.
평등사회는 여전히 먼 나라 이야기다. 노동현장에 불평등이 제도화되고 열악한 여건 때문에 이 시각도 노동자가 억울한 죽음을 당하는 등 인권침해, 유린이 일상화 되어 있다.
그럼에도 민중을 하늘처럼 여기며 민중을 위해 모든 정사가 베풀어지는 북을 흉보려 하고 있으니, 말도 되지 않을 뿐더러 가당치도 않다.
윤석열 역적무리는 미국에 추종해 남북관계를 더욱 후퇴시키고 완전 파국에로 몰아가는 범죄적인 반북인권모략책동을 즉각 철회하여야 한다.